동위원소의 질량수가 1 차이나는 것 하나라도존재하면 최대에서 최소를 뺀뒤에 일을 더하면 된다고 하셨는데 co2 에서 c 12,13 O 16,18 을 예로 할때는 성립될수도있다고 보지만 성립되는 다른 예로 뭐가 있을까요? 만약 AB를 구하라고하고 A를 12,13과 B를 16 20으로주면 성립이 안되지않나요? 헷갈립니다 ㅠㅠ
1 Answers
최대-최소 +1 은 사실 연속한 자연수나 정수의 갯수셀 때 쓰는 방법이에요. 자연수가 연속하면 크기가 1씩 차이가 납니다. 1~100까지 자연수 개수는 100-1+1 =100개죠? (물론 당연히 100개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)
7부터 93 까지의 자연수 개수는 93-7+1=87개입니다. 즉, 위 방법은 오직 동위원소로 이루어진 ‘분자의 분자량이 1씩 차이날 때만’ 가능한 방법이에요! 질문자님께서 예로 드신 경우는 분자의 분자량이 1씩 차이나서 분자량이 연속적하는 게 아니라 중간에 도약하는 구간이 있기때문에 (B의 종류가 바뀔 때) 최대-최소 +1 하면 틀리는 거에요!
답변을 남기시려면 로그인해 주세요